일상생활하기/지식충전

다독(多讀)이 먼저요, 다음이 속독(速讀)이다.

은여리 2023. 1. 16. 01:00
반응형

최근, 검토해야 할 서류도 많아지고
끊임없이 생각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수동적 사고의 흐름을
능동적 사고의 흐름으로 바꿔야만 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할 방안이 필요....

업무를 볼 때도 마찬가지고,
세상을 살아갈 때도 마찬가지로
많이 알고, 많이 생각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너무도 뻔한 이야기지만
많이 생각하고, 많이 알려면
독서만큼 좋은 것도 없다.

그렇다면 독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학창 시절 학교에서는 배운 적 없는
좀 더 효율적으로 독서하는 방법은 없을까?

 

짧은 시간에 많은 보고서를 읽어야 하고
핵심 내용을 재빠르게 파악하려면
좀 더 다른 무언가가 필요하다 싶었는데
그 해결방법을 제시해 주는 책이 바로
김병완 작가의

1시간에 1권

"퀀텀 독서법"

이다.

책 표지


책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해 보면,
"빠르게 읽고, 이해하는 방법과 훈련법"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이 훈련 수행의 전제조건은

다독(多讀)!

많이 읽어야 한다는 것.

다양한 분야의 책을 닥치는 대로 읽어
많은 배경지식을 쌓을수록
속독의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다는 것!

빠르게 읽기만 하고,
정작 내용 이해를 못 한다면
주객(主客)이 전도되는 것이다.

저자는 번듯한 직장을 잘 다니다 그만두고
몇 년간 도서관에 틀어박혀 책만 읽었다고 한다.

책 속 문장


이쯤 되니 '나는 이때까지 살아오면서
교과서를 제외하고
과연 몇 권의 책을 읽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세어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부끄럽게도 초등학교 방학숙제로
독후감을 쓸 때조차 제대로 읽은 기억이 없다.

중, 고등학교 땐 손에 꼽을 수 있을 정도고...
본격적으로 읽기 시작한 것이 군대 시절부터니
그리 어렵지 않을 수밖에...

그래도 직장 생활하며 읽은 것까지 합하면
'한 오백 권은 읽지 않았을까?' 했는데...
웬걸!
세어보니 끽해야 백 권 남짓

충격!


그래서 도전 목표를 정했다.

우선 500권 책 읽기!

목표 달성을 위한 보조 프로그램으로
"북적북적"이라는 독서기록 앱도 설치했다.

앱 타이틀


내가 읽은 책, 읽고 있는 책, 읽고 싶은 책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할 수 있고,
독후감도 적어 보관할 수 있어 좋다.

목표도 정했고, 관리 앱도 설치했으니
목표 달성을 위해
단계적으로 접근하기로 한다.

우선 책 속의 표를 기준으로
나의 독서력 체크를 했다.

독서력 측정방법은 아래와 같다.

구간별 독서력 등급

반응형


나름 빨리 읽는 편이라 생각했었는데..
입문자 상급 수준이라니..

자신의 수준을 알았다면
하루 30분 3주간
15단계의 리딩 훈련을 해야 한다.

 

가장 인상 깊었던 훈련 방법은
글을 절대로 속으로 읽지 말고
눈과 뇌로 바로 인식하라는 것!

 

유아기, 초등시절 글을 배우던 습관
이제 그 습관을 버리 라는 것이다.

글을 이미지로 보라는 것인데
처음에는 몇 단어를 한꺼번에
다음엔 반줄,
그다음엔 한 줄을 통째로
이런 식으로 해서 궁극적으론
한 페이지를 통으로 읽는 것이다.

 

마치 무협소설에 나올 것만 같지만
한 단계씩 터득해 가다 보면
결코 허무맹랑한 소리는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훈련이니 만큼 쉽지만은 않다.

나는 아직도 최고 단계에 도달하진 못했으나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다.

한 권 읽는데 몇 주가 걸렸던 것에서
웬만한 책은 4시간에 1권 읽어내는 정도.

읽는 속도가 빨라지니
매일 몇십 분 밖에 없는 바쁜 일상임에도
1주일에 한두 권은 거뜬히 읽어낸다.

 

아울러, 많은 양의 보고서를 검토하는데

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그럼에도 문제는 항상 있다.

 

500권 목표 설정 이후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애를 쓰고 있지만,
이 책을 읽은 이후
매월 독서 누적량이 줄고 있다...

바쁘기도 했고,
코로나로 건강이 좋지 않았다는 핑계도 있지만
'1주일에 한 권씩 읽어도 많이 읽는 것'이라고
스스로 위로하는 나태함이 더 큰 이유였다.

이 글을 계기로 다시금 500권 목표 달성을 위해
고삐를 바싹 조여야겠다.

반응형